06장. 프락시
Network Book HTTP
Chapter 06 - 프락시
📌 읽으면서 밑줄친 내용 그대로 옮겨 적음. *이 붙은 문장은 생각.
- 프락시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위치하여 그들 사이의 HTTP 메시지를 정리하는 중개인처럼 동작한다.
- HTTP 프락시 서버는 웹 서버이기도 하고 웹 클라이언트이기도 하다.
- 프락시는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연결하고, 게이트웨이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둘 이상을 연결한다.실질적으로 프락시와 게이트웨이의 차이점은 모호하다.
- 프락시의 사용 예시
- 어린이 필터
- 문서 접근 제어자
- 보안 방화벽
- 웹 캐시
- 대리 프락시(Surrogate)
- 한 단계 더 거치는데 어떻게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걸까?
- 콘텐츠 라우터
- 트랜스코더
- 익명화 프락시(Annoymizer)
- 프락시 서버 배치
- 출구(Egress) 프락시
- 로컬 네트워크와 더 큰 인터넷 사이를 오가는 트래픽을 제어하기 위해 프락시를 로컬 네트워크의 출구에 박아 넣을 수 있다.
- 회사 인터넷으로 게임사이트 접속 못하는 것과 비슷한가?
- 접근(입구) 프락시
- 대리 프락시
- 네트워크의 가장 끝에 있는 웹 서버들의 바로 앞에 위치하여 웹 서버로 향하는 모든 요청을 처리하고 필요할 때만 웹 서버에게 자원을 요청할 수 있다.
- 네트워크 교환 프락시
- 출구(Egress) 프락시
- 어떻게 프락시가 트래픽을 처리하는가
- 클라이언트를 수정한다
- 네트워크를 수정한다
- DNS 이름공간을 수정한다
- 웹 서버를 수정한다
- 프락시는 목적지 서버와 커넥션을 맺어야 하기 때문에, 그 서버의 이름을 알 필요가 있었다.
- 우리는 HTTP 프락시 네트워크를 통해 홉에서 홉으로 전달될 때마다 메시지의 내용이 어떻게 변하는지 편리하게 관찰할 방법이 필요하다.
알게된 점
- 프락시가 무슨 일을 하는지: 잡부..
관련해서 같이 이야기 나누고 싶은 점
- 프락시가 있다는 건 통신 과정에서 한 단계가 더 추가되는 것인데, 이것이 성능 개선을 어떻게 이룰 수 있는 건지 모르겠다. 미리 가져오는 것?
- 프락시 서버를 도입하는 시점은 언제인지? (기준..이 궁금함)
참고 자료
- https://refactoring.guru/ko/design-patterns/proxy